지식베이스에서 각각의 개체들은 온톨로지 클래스에 의해서 그 의미가 정의되고(예: 사람, 장소, 사건 등) 이러한 정보는 지식베이스에서 정답 후보들을 선택할 때 검색공간과 모호성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자연어 질의를 이해할 때에 정답의 유형을 질의에서 발견하여 분석(1)하는 것이 주요한 일이 된다. 또한 의문대명사(2)의 경우 질의에서 묻고자 하는 화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높은 산은?", "몇 개?", "누구인가?" 등으로부터 질문에서 얻고자 하는 정답을 얻는 방식이 달라지고 쿼리의 형태도 달라지게 된다[??]. 질의에서 제공하는 정답의 근거들(3)은 수많은 지식베이스의 개체들 중에서 가장 정답에 가까운 개체들을 정답으로 내어주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