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한국어 질의의 형태에 대하여 질의로부터 이해되어야 하는 요소들을 모두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보추출 방식이 아닌 의미분석 방식을 채택하였고 전통적인 의미분석 방식이 아닌 분산 의미표현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